[현장리포트] 산업재해 사망자 중 절반 발생, 소규모 현장은 관리 사각지대

[앵커]

지난해 산업재해로 숨진 사람 가운데 절반이 넘는 428명이 건설업에서 숨졌습니다.

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는 더 강화됐을까요?

단비뉴스가 가까운 건설 현장들을 점검해보니, 대형 건설 현장에서부터 소규모 현장까지 안전관리 상태는 여전히 허술했습니다. 

이동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 

[리포트]

충북 충주의 영화관 건설 현장입니다.

작업자들이 사다리 대신 안전고리에만 의지한 채 임시 가설물을 붙잡고 옮겨 다닙니다. 

아무런 안전시설 없이 뻥 뚫린 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도 있습니다.

자체 안전관리 책임자가 상시 배치돼 있지만 안전 규정이 지켜지지 않는 겁니다.

아예 상시 안전관리자가 없는 공사금액 120억 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 현장들은 어떨까요?

제천시 세명대 부근 원룸 건설 현장입니다.

작업자들이 안전모를 쓰지 않고 안전고리도 걸치지 않은 채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.

안전장구 없이 지붕 위를 걸어다니는 작업자도 보입니다.

제천의 또 다른 건설 현장에서도 작업자들이 안전 장구를 갖추지 않은 채 건물 지붕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 

지난 10월에 나온 안전보건공단 발표를 보면 상시 안전관리자가 없는 소규모 공사현장에서 사고로 숨진 사람이 전체 건설 현장에서 숨진 사람의 90% 가까이 됐습니다.

건설 현장 안전 관리는 고용노동부가 담당합니다. 

안전순찰차를 도입하는 등 불시 점검을 하고 있지만 전국의 모든 현장을 관리하는 건 힘들어 보입니다.

[고용노동부 산하 산업안전보건공단 관계자: 현장에 안전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현장에 작업발판이라든지 안전난간 등 추락 위험 요소가 있는지 없는지 살피고 안전관리자가 하는 것처럼 개선하도록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거죠.]

전문가들은 사망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소규모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게 
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.

[장호면 세명대 보건안전공학과 교수: 실제 120억 미만의 (건설현장에는) 안전 관리자가 없습니다. 재해예방지도만 받거든요. 한 달의 두 번 정도 오는 것으로 관리가 되겠습니까.]

15일에 한번씩 민간 기술지도요원이 재해예방지도를 하는 것으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입니다.

사망 사고의 대부분이 일어나는 소규모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허가 따로 안전 따로인 현재의 감독 체계를 손보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합니다.

단비뉴스 이동민입니다.

(영상취재 : 이동민 / 편집 : 이동민 / 앵커 : 조한주)


편집: 조한주 기자

저작권자 ©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